갖지은 듯한 뽀얀 쌀밥에 노릇하게 구운 스팸 한조각을 올려 한 입 꿀꺽!
지금 떠올려도 너무 맛있는 스팸 햄 광고의 한 장면입니다.
가공육은 오랜 보존성과 풍미를 위해 다양한 가공 과정을 거친 식품으로, 햄, 소시지, 베이컨, 핫도그, 살라미, 육포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가공육은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식품이지만,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Group 1 carcinogen)로 지정한 이후, SNS를 통해 많은 전문가들이 섭취를 중단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공육 섭취는 얼마나 위험한지, 가공육을 완벽히 끊어내어야 건강할 수 있는것인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가공육의 위험성과 안전한 섭취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공육이 발암물질로 지정된 이유
✅ WHO의 발표 내용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5년 보고서를 통해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하였습니다. 이는 흡연, 석면과 같은 등급으로, 발암성이 확실한 물질로 인정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더불어 적색육(소고기, 돼지고기 등)은 2A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발암 가능성이 높은 물질로 평가했습니다.
WHO의 보고서에 따르면, 가공육을 매일 50g(소시지 1~2개 또는 베이컨 2장) 섭취할 경우 대장암 위험이 18% 증가할 수 있다고 하며, 이는 장기적인 연구 결과를 분석한 통계적 수치로, 가공육의 지속적인 섭취가 대장암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 가공육이 발암 위험을 높이는 원인
가공육의 발암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는 주로 화학적 첨가물과 가공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해 물질 때문이며, 대표적인 첨가물과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질산염(Nitrites)과 아질산염(Nitrates): 보존료로 사용되는 이들 성분이 조리 과정에서 **니트로사민(nitrosamines)**으로 변환되며, 이는 강력한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 고온 조리 시 생성되는 발암물질: 베이컨, 햄, 소시지를 높은 온도에서 조리하면 헤테로사이클릭아민(HCA),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같은 발암물질이 생성된다. 특히 튀김, 숯불구이, 직화 요리 과정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 염장 및 훈제 과정의 화학적 변화: 가공육은 염분 함량이 높으며, 훈제 과정에서 발암물질인 PAH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은 염분 섭취는 위암 발생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다.
2️⃣ 주요 연구 결과 분석
✅ 2015년 WHO 국제암연구소(IARC) 보고서
✔️ 34개국 800여 개 연구를 종합 분석한 결과, 가공육이 대장암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결론지음.
✔️ 매일 50g의 가공육 섭취 시 대장암 위험이 18% 증가.
✅ 2021년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 (BMC Medicine)
✔️ 50만 명을 7년간 추적 연구한 결과, 가공육 섭취량이 많을수록 대장암 및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 특히 가공육과 심혈관 질환 간의 연관성이 강하게 나타남.
✅ 2018년 하버드 공중보건대학 연구
✔️ 하루 1인분의 가공육 섭취 시 조기사망 위험 20% 증가.
✔️ 나트륨과 포화지방 함량이 높아 심혈관 질환 및 고혈압 위험도 상승.
3️⃣ 가공육을 완전히 피해야 할까?
가공육이 발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있지만, 섭취량과 조리 방법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식습관에서 가공육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지만, 안전한 섭취법을 준수하면 건강을 지키면서도 가공육을 즐길 수는 있다고 합니다.
✅ 안전한 섭취 가이드
✔️ 일주일에 1~2회 이하로 제한.
✔️ 고온 조리(튀김, 숯불구이) 피하기 – 직화보다는 찌거나 저온 조리 권장.
✔️ 신선한 채소와 함께 섭취 – 항산화 효과로 발암물질 영향을 줄일 수 있음.
✔️ 무첨가(질산염·아질산염 Free) 제품 선택 – 자연 보존료를 사용한 제품을 선택.
✔️ 적색육보다는 가금류, 생선 등 다양한 단백질원 활용.
4️⃣ 가공육과 노화, 건강한 식습관
발암물질의 섭취는 암 위험뿐만 아니라 노화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가공육 섭취가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염증 반응을 유발하면, 노화 속도는 더욱 가속화된다는 의미입니다.
쉽게 말해, 햄을 먹으면 빨리 늙는다!
셀 수 없이 많은 맛있는 요리에 빠지지 않는 가공육! 하지만,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음식(채소, 과일, 견과류 등)과 함께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면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가공육 섭취를 줄이고 건강한 단백질원을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건강과 노화 방지를 위해 훨씬 안전한 선택이 되겠습니다.
5️⃣가공육, 절제된 섭취가 중요
가공육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보시는 바와 같이 많은 연구들을 통해 입증된 사실입니다. 하지만 죽어도 포기할 수 없다면, 적절한 양과 조리법을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핵심 요약
✔️ 가공육은 WHO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되었으며, 과다 섭취 시 대장암 위험 증가.
✔️ 질산염, 아질산염 등의 첨가물이 발암물질로 변할 가능성이 있음.
✔️ 고온 조리 시 발암물질이 더 많이 생성될 수 있음.
✔️ 안전한 섭취법을 실천하면 가공육의 건강 위험을 줄일 수 있음.
건강한 햄은 세상에 없습니다.
아는 맛이 무섭듯, 그저 좀 다른 방법으로 건강을 그나마 챙겨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가공육의 섭취를 줄이고 신선한 식품을 중심으로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며 Slow-aging, 할 수 있는 한 이 젊음을 오래 유지하고 보존해보도록 해야겠습니다.
'건강- 식재료 탐색 및 레시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감미료(대체설탕), 설탕 대신 써도 될까? (27) | 2025.03.29 |
---|---|
저속 노화를 위한 원데이 루틴& 봄날의 디톡스(마녀스프) 제안! (12) | 2025.03.19 |
착한지방 vs. 나쁜 지방, feat.식용유 퉤퉤? 2편 (3) | 2025.03.15 |
착한 지방 vs. 나쁜 지방, 올리브유 둥절?~ 1편 (2) | 2025.03.14 |
버터와 건강, 앙버터는 죄가 없다. (6) | 2025.03.13 |
유제품(우유, 치즈, 요거트, 버터), 이대로 먹어도 될까? (9) | 2025.03.11 |
단백질 보충제, 득인가? 실인가? (14) | 2025.03.10 |
우유와 콩의 배신, 여성호르몬과의 논란 종결?! (11)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