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통합 플랫폼인 블루터치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서울시민뿐 아니라 전국민의 정신건강이 피폐한 지금, 마음이 블루~할 때 터치해보시자구요! 우리에게 꼭 필요한 정신건강 "블루터치"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지금 나는 스트레스에 얼마나 잘 견딜 수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블루터치 자가검진을 먼저 체크해보세요.
우울감, 스트레스, 조울증, 수면, 알콜 또는 게임과 같은 중독, 외상 후 장애와 같은 다양한 마음 건강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을 받으셨나요? 결과가 어떠신지요?
만약 여러분의 이 자가검진 결과가 전문기관의 치료적 개입과 평가가 요구될 경우, 거주지 정신건강복지센터 또는 서울시청년마음건강센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서울시 거주자에 한함)
1. 블루터치: 서울시 정신건강 통합 플랫폼
블루터치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정신건강 통합 플랫폼으로, 시민들에게 다양한 정신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가검진 서비스: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건강 상태를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온라인 검사 도구를 제공합니다.
2️⃣ 자가관리 프로그램: 마음터치 그린, 마음터치 블루, 싱크어게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정신건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정신건강 정보 제공: 우울증, 스트레스, 알코올 중독 등 다양한 정신건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4️⃣ 서비스기관 안내: 서울시 내 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 관련 기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블루터치 공식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확인하시거나 주제별로 정리하는 이후 포스팅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2.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 시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전문 기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2005년에 개소한 국내 최초의 광역형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서울의료원이 위탁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으며 블루터치 홈페이지에서 바로가기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1️⃣정신질환 예방 및 조기 발견: 정신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지원하며, 시민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2️⃣정신건강 인식 개선: 정신건강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건강한 지역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캠페인과 홍보 활동을 진행합니다.
3️⃣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 상담, 중증정신질환자 등록관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자살예방사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바로가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3. 서울시 자치구별 정신건강복지센터 정보
서울시 각 자치구에는 지역 주민을 위한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각 센터에서는 정신건강 상담, 중증정신질환자 관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현황 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저의 포스팅을 통해서도 주제별로 나눠서 다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겠습니다.
4. 정신건강 상담 및 지원 서비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대표 번호: 02-3444-9934
👉24시간 정신건강 위기 상담: 1577-0199
정신건강에 대한 고민이나 도움이 필요하신 경우, 위의 연락처를 통해 상담 및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지원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신 경우 언제든지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이외에도 전국의 시도별, 지자체 및 보건소 단위로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운영중입니다. 자세한 상담과 도움이 필요하시면 지역구 단위의 보건소로 먼저 도움을 요청해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여름이 오기 전 예방접종도우미 앱 먼저! 캠핑가기 전, 파상풍 예방접종 했나요? (32) | 2025.05.20 |
---|---|
#블루터치(3) 서울시민 정신건강 5대 지원항목 및 세부사항 총정리! -마지막편 (77) | 2025.05.18 |
#블루터치(2) 마음터치 – 서울시민의 마음건강검진과 셀프케어 프로그램 안내 (34) | 2025.05.18 |
계절별·질환별 음식 궁합 쳌! – 사계절 건강식과 유병자 맞춤식 제안! (28) | 2025.05.16 |
울쎄라 말고 피부과리프팅레이저 시술 고민이라면? 고주파(RF) 리프팅 시술 비교 (44) | 2025.05.13 |
울쎄라 효과 및 대체 가능한 피부과 리프팅 레이저의 종류, 효과, 통증, 가격 비교 (67) | 2025.05.12 |
2025 한전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지원사업 환급금 대상자 및 신청 바로가기 (39) | 2025.05.09 |
에이즈(AIDS)란? 에이즈 뜻과 오해, 초기 증상부터 정부지원 현황까지! (54)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