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습니다. 안타깝게도 출산율은 최저이고, 고령화 인구는 넘쳐나는 상황이 지속되거나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홀로 병원을 찾기 어려운 어르신들께 살던 곳에서 계속 건강하게 살아가실 수 있도록 유기적인 돌봄 연계체계를 내실있게 마련하여, 효과적으로 의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재택 의료라고 하며 의사와 간호사가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정부에서도 이와같은 서비스의 확대 및 연계를 위해 다양한 정부산하기관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주거·영양·돌봄 등 기타 지역사회 및 장기요양 서비스 연계로 더 적합한 재택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원내 전문 의료인력을 활용하여 환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1. 재택의료란? 재택진료와 다릅니다.
▶️ 재택의료란? 대면 진료를 집에서!
재택의료(Home Medical Care)는 병원 방문이 어려운 환자들이 집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의료진이 직접 환자의 집을 방문하여 진료, 투약, 치료 등을 의료적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며, 고령자, 만성질환자, 중증 환자 등이 주 대상입니다.
▶️ 재택진료=비대면 진료서비스
재택진료(Home Telemedicine)는 원격의료를 기반으로 한 비대면 진료 서비스입니다. 환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통해 의료진과 화상 상담을 진행하고, 처방전 발급 및 건강 관리 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재택의료와 재택진료의 필요성
✅ 고령화 사회의 도래: 2025년 대한민국은 초고령 사회(65세 이상 인구 20% 이상)로 진입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노인층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만성질환 증가: 고혈압, 당뇨, 신부전증과 같은 만성질환자의 지속적인 관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의료 취약계층 보호: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독거노인, 중증 환자 등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감염병 예방: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진료의 중요성이 커졌으며, 재택진료는 감염 위험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재택의료 정부 지원 및 신청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재택의료 지원
1️⃣ 방문진료 서비스
✔️ 대상: 거동이 불편한 노인, 장애인, 중증 질환자
✔️ 서비스 내용: 의사가 직접 방문하여 건강상태 확인, 치료 계획 수립, 약 처방
✔️ 신청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신청
2️⃣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 지원 대상: 중증 만성질환자, 퇴원 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환자
✔️ 제공 서비스: 간호사 방문, 물리치료, 재활치료, 심리 상담
✔️ 지원 내용: 일정 기간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 이용 가능
▶️ 보건복지부를 통한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서비스 운영 및 지원내용
전국 135개소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에서 개인이 받을 수 있는 재택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은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한 팀으로 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한 지역사회 돌봄서비스 등을 연계하는 사업입니다. 이를 통해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요양병원 등에 입원하거나 요양시설에 입소하지 않고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71개 시·군·구, 93개소에서 2025년 91개 시·군·구, 135개소로 확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의료기관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의료비 지원: 저소득층,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비 감면 혜택
✔️ 복지용구 지원: 거동 불편 환자를 위한 휠체어, 침대 등 지원
✔️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재택 건강관리 서비스 신청 가능
4. 재택의료와 웰다잉의 연계
▶️ 웰다잉(Well-Dying)이란?
웰다잉은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의료적, 정신적, 사회적 준비를 하는 과정입니다.
▶️ 재택의료 서비스가 웰다잉에 미치는 영향
✔️ 자연스러운 삶의 마무리: 병원이 아닌 익숙한 환경에서 가족과 함께 마지막 순간을 보낼 수 있음
✔️ 고통 경감: 완화의료 및 호스피스 서비스와 연계하여 말기 질환자의 통증을 줄이는 치료 가능
✔️ 정서적 안정: 병원보다 가정에서 치료받으며 정서적 안정을 찾을 수 있음
✔️ 의료 결정권 보장: 환자가 자신의 치료 방향을 직접 결정할 수 있는 기회 제공
5. 향후 받을 수 있는 재택의료 서비스 전망
🔴 원격 모니터링 확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혈압, 혈당, 심박수 모니터링 기술 발전
🔴 AI 진단 시스템 도입: 인공지능 기반 건강 상담 및 조기 질환 감지 서비스 도입
🔴 재택 간호 및 재활 확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방문 간호 및 재활 서비스 확대 지원
🔴 노인 대상 커뮤니티 케어 활성화: 재택의료와 사회적 돌봄 서비스를 결합한 모델 도입
6. 재택의료 서비스의 실효성 검토
재택의료 및 재택진료는 고령화 시대에 필수적인 의료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정부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집에서도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웰다잉과의 연계는 삶의 마지막까지 존엄성을 존중받는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래와 같이 아직 안정적인 서비스는 실행 과정 중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현재 방문진료와 재택의료는 의료공급자 중심
✅ '방문진료', '재택의료', '가정간호', '방문간호' 등 유사한 개념이 혼재돼 있어 정책 수립 과정에서 혼란
✅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간 역할 조정도 필수적
✅ 방문진료 수가 시범사업의 본인부담금은 높아 필요한 환자가 이용하기 어려운 현실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꼭 필요한 환자가 반드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실행력과 만족도가 모두 높은 재택의료 서비스로 발돋움하는 2025년을 고대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건강 보험 환급금? 2025년 정산 시기 도래! 또 납부?! (29) | 2025.04.08 |
---|---|
수면 중 빛, 살찌고 치매까지 위협- "밤에 불 켜놓고 자면 살찐다!" (17) | 2025.04.06 |
2025 "셀프케어" 에 폭싹 빠졌수다! feat. 몸과 정신 건강, 개인맞춤형 (26) | 2025.04.02 |
건강한 편의점? 편의점+건강 구독& 좋아요- (30) | 2025.04.01 |
재난적의료비(정부지원금) 지원 대상 및 신청방법 바로가기! (38) | 2025.03.31 |
봄철 산불 및 화재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질병과 후속 조치 (14) | 2025.03.30 |
2025년 건강검진 주요 변경사항과 연령별 필수 항목 (32)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