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뇌건강2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시각은 '눈'이 아닌 '뇌'의 영역!“시각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뇌가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지장애가 있는 사람들 역시 눈은 멀쩡해도 세상이 흐릿하고 낯설게 보일 수 있다.” 어제 포스팅을 통해 눈의 시각능력이 뇌의 능력이라는 사실에 주목한 후 그러면 치매환자나 인지장애인들은 혹시 시력이 저하되거나 시각 인지기능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지 함께 체크해보았습니다. "안 보여요"라고 말하는 치매 환자 중 많은 이들의 눈은 사실 구조적으로 건강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방향 감각이 떨어지는 이유는 시각 정보 처리 과정이 '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알츠하이머나 전두측두형 치매 환자들은 뇌의 시각피질(후두엽)과 연관된 영역의 퇴화로 인해 '보는 데 문제가 생기는 .. 2025. 5. 2.
뇌와 눈의 놀라운 협업! 우리가 보는 또렷한 세상은 뇌가 보여주는 것! “보는 건 눈이 아니라 뇌다.” 이런 말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저는 예전에 라식수술을 받은 후 거의 6개월동안 술을 마시면 1시간 정도만에 너무 졸려서 술자리에서 엎어져 잠깐씩 자야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원래 그런 습관이 있다면 이해를 할텐데 도무지 이해를 할 수가 없었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뇌와의 상관성, 아니 그냥 뇌때문이었음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이 말이 낯설게 들릴지 모르지만, 과학적으로는 거의 사실에 가깝습니다. 인간의 시각은 눈에서 시작되지만,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는 뇌에서 완성됩니다. 특히 뇌는 시각 처리에 뇌 기능의 약 80% 이상을 할당할 만큼, 시각 정보 해석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바로 인간의 눈이 생각보다 ‘결함이 많은 구조’를 가지고 있기.. 2025. 5. 1.